본문 바로가기
정보

보이스피싱 구제방법|피해금을 돌려받는 현실적인 방법

by TooDream 2025. 4. 5.

“보이스피싱으로 돈을 보냈어요.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?”
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신속하게 조치하면 일부 또는 전액 환급도 가능합니다.
이 글에서는 보이스피싱 구제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립니다. 지금 바로 실행하세요.

1. 송금했더라도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

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더라도, 즉시 신고해 가해자의 계좌를 지급정지하면 피해금 보호 또는 회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
  • 피해 인지 즉시 112 또는 금융감독원(1332) 신고
  • 송금 계좌번호와 금액, 송금 시간을 정확히 기록
  • 신고 이후에는 반드시 지급정지 요청 진행

시간이 생명입니다. 30분, 1시간 차이로 계좌 잔고가 인출될 수 있습니다.

2. 지급정지 요청 방법

  1. 해당 계좌의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
  2. “보이스피싱 피해 계좌입니다. 지급정지 요청합니다”라고 말함
  3. 송금한 날짜, 시간, 금액, 피해자 이름 등 정보 제공

은행은 해당 계좌를 임시 지급정지 상태로 두고, 피해 사실을 경찰에 확인받아 최종 처리합니다.

보이스피싱 구제방법보이스피싱 구제방법

3. 경찰 신고 및 피해구제 신청

① 경찰 신고 절차 (112)

  • 통화 또는 방문 신고
  • 피해 경위 진술 + 송금 정보 제출
  • 필요 시 ‘범죄피해사실확인서’ 발급

② 금감원 피해 구제 신청

  •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접속
  • ‘보이스피싱 피해 신고센터’ 접속
  • 온라인으로 피해 접수 → 은행과 공동 조치

③ 사이버범죄 신고 시스템

  • ecrm.police.go.kr 에서 온라인 접수
  • 피해 증거(문자, 계좌이체 내역, 통화 녹음 등) 제출 가능

4. 피해금 환급 절차는 이렇게 진행됩니다

① 은행 지급정지 조치 → ② 수사기관 피해 확인 → ③ 해당 계좌의 남아있는 잔액에서 피해금 환급

단, 아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.

  • 신고일로부터 3일 이내 구제 신청
  • 가해자 계좌에 잔고가 남아 있을 경우
  • 수사기관에서 정식 피해자 확인을 받은 경우

※ 일부 은행은 가해자 동의 없이도 피해자 중심 환급 처리를 시행 중입니다.

5. 환급받기 어려운 상황은?

  • 계좌 지급정지 전에 인출이 완료된 경우
  • 수사기관의 피해자 인정이 어려운 경우
  • 피해 발생 후 3일이 지나 신고한 경우

이 경우에는 **형사소송 및 민사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**하는 방법이 있으나, 시간이 오래 걸리고 현실적으로 환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6. 마무리: 빠른 대응이 피해금 지키는 유일한 방법

보이스피싱 구제방법보이스피싱 구제방법보이스피싱 구제방법

보이스피싱 피해는 누구나 당할 수 있습니다. 중요한 것은 얼마나 빨리 인지하고 신고하느냐입니다.

지금 이 순간, 피해를 입었다면 아래 3가지를 즉시 실행하세요.

  • ① 112 또는 1332 신고
  • ② 은행에 지급정지 요청
  • ③ 경찰 및 금융감독원 피해 구제 신청

혹시 주변에 보이스피싱을 당한 지인이 있다면, 이 글을 공유해 주세요.

✅ 함께 보면 좋은 글

보이스피싱 신고|지금 바로 신고하는 가장 빠른 방법

보이스피싱 사례|2025년 최신 피해사례와 예방법 총정리